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시각화
- MATLAB
- Pandas
- 리눅스
- 블로그
- Blog
- Tistory
- SQL
- 텐서플로
- 통계학
- 파이썬
- MySQL
- 월간결산
- Visualization
- python visualization
- 한빛미디어
- 한빛미디어서평단
- 서평
- Python
- matplotlib
- Ga
- 서평단
- 파이썬 시각화
- 티스토리
- Linux
- 딥러닝
- 독후감
- Google Analytics
- tensorflow
- 매틀랩
Archives
- Today
- Total
pbj0812의 코딩 일기
[네트워킹] 6. 스위치를 켜라_1 본문
* 후니의 쉽게 쓴 시스코 네트워킹 정리
- 스패닝 트리 알고리즘 : 루핑을 막아주기 위한 프로토콜임
- 브리지 ID : Bridge Priority(16비트) + MAC Address(48비트) = 64비트
1) Bridge Priority(0 ~ 65535) : 디폴트 32768 사용함
2) MAC Address : 스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값임
- Path Cost : 브리지가 얼마나 가까이, 빠른 링크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알아내기 위한 값임
ex) 두 스위치가 10Mbps로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Path Cost = 1000/10 = 100, 속도가 빠를수록 값이 작음
- 스패팅 트리 프로토콜
1) 네트워크당 하나의 루트 브리지를 갖음
2) 나머지 모든 브리지는 무조건 하나씩의 루트 포트(루트 브리지에 가장 빨리 갈 수 있는 포트)를 갖음
3) 세그먼트당 하나씩의 데지그네이티드 포트를 갖음
4) 루트포트나 데지그네이티드 포트가 아닌 나머지 모든 포트는 다 막아버림
- 루트, 데지그네이티드 포트 정하는 순서
1) 누가 더 작은 Root BID를 가졌는가?
2) 루트 브리지까지의 Path Cost 값은 누가 더 작은가?
3) 누구의 BID(Sender BID)가 더 낮은가?
4) 누구의 포트 ID가 더 낮은가?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