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딥러닝
- 서평
- MySQL
- Pandas
- 블로그
- tensorflow
- Tistory
- MATLAB
- 파이썬
- Python
- 시각화
- Linux
- Visualization
- Blog
- 한빛미디어
- 한빛미디어서평단
- 티스토리
- Google Analytics
- 텐서플로
- 서평단
- Ga
- matplotlib
- 리눅스
- 월간결산
- 파이썬 시각화
- python visualization
- 독후감
- 통계학
- SQL
- 매틀랩
- Today
- Total
pbj0812의 코딩 일기
[네트워킹] 5. IP 주소로의 여행_2 본문
* 후니의 쉽게 쓴 시스코 네트워킹 정리
- 네트워크가 서로 다른 두 장비 간의 통신은 라우터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 라우터의 각 인터페이서에 IP 주소를 부여해 주는 것이 좋다.
- 서브넷 마스크 : 브로드캐스트로 인한 과부하를 막기 위하여 IP 주소를 자를 때 사용한다. 나누는 행위를 서브네팅이라 하고, 각각의 서브넷 간의 통신은 라우터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 모든 IP 주소에는 서브넷 마스크가 따라 다닌다.
- 클래스 C를 나누어 쓰지 않고 몽땅 쓰는 경우를 디폴트 서브넷 마스크라고 한다.
- 클래스 C의 경우 디폴트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0이다.
B : 255.255.0.0
- 서브넷 네트워크는 클래스에 따라 다르다
ex) ip = 210.100.100.1(C 클래스)
서브넷 네트워크 = 210.100.100.0
ex2) ip = 150.150.100.1(B 클래스)
서브넷 네트워크 = 150.150.0.0
* 서브넷 마스크를 디폴트가 아닌 C 클래스 서브넷 마스크(C 클래스)로 바꾼다면
서브넷 네트워크 = 150.150.100.0(클래스 B 주소를 클래스 C 처럼 사용한다는 의미이다.)
- 서브넷 마스크는 이진수로 썼을 때 1이 연속적으로 나와야 하며 1의 사이에는 0이 오면 안된다.(ex : 1111 1111. 1111 1111. 1111 1111. 0000 1111은 안된다.)
- 서브넷 마스크는 문제를 많이 풀어봐야 할 거 같다. 책 구성도 그렇게 되어 있고.. 하지만, 내 목적은 네트워크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문제는 일단 스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