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tensorflow
- Visualization
- 시각화
- 딥러닝
- Ga
- Google Analytics
- 블로그
- 리눅스
- python visualization
- Pandas
- MATLAB
- 독후감
- Linux
- Blog
- 서평
- 파이썬
- 텐서플로
- 티스토리
- Python
- 한빛미디어
- 통계학
- 매틀랩
- Tistory
- 월간결산
- matplotlib
- SQL
- 파이썬 시각화
- 한빛미디어서평단
- 서평단
- MySQL
Archives
- Today
- Total
pbj0812의 코딩 일기
[CS231N] 1강 course introduction 본문
1강은 소개라 딱히 쓸 게 없음.
컴퓨터 비전은 많은 영역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500만년전 생물에 눈이 달린 이후로 시각은 중요 해졌고,
여러 실험을 해왔다.(카메라의 발명 등...)
그러다가 1959년 Hubel & Wiesel 에 의해서 놀라운 실험을 하였으니
고양이에게 여러 도형(원, -, ㅣ 등)을 보여주고 전기 신호를 받았더니 각 물체에 따라 파형이 다르게 나왔다.
이 실험을 토대로 또 실험을 하였고, 1997년에는 같은 색을 엮어 군집을 만드는 실험을 하였고, 2001년에는 얼굴인식을 성공하였다.
그리고 시간이 흘러 imagenet dataset을 이용한 경진 대회가 열린다.
150만 개의 이미지를 학습시켜(1000종류) 10만개의 이미지를 검사하기인데..
채점 방식은 아래 그림과 같다.
사진에서 보이는 물체 5개 적고 없으면 땡..
정확도가 갈수록 높아져 2015년에는 3.57% 의 에러를 기록하는데 그쳤다.(사람 5.1% 에러율)
사람과 비교하기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사람 보다 좋다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참고논문 클릭)
각 년도에서 1등을 한 모델의 구조는 아래 그림과 같다.
그리고 앞으로 다룰 내용은 왜 얘네들이 만들어 졌는지를 할 것이다.
'Machine Learning Lecture > cs231n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231N] 2강 Image Classification (0) | 2018.09.06 |
---|
Comments